로버트 박! 그대에게 바치는 시 |
---|
시초 로버트 박! 그대에게 (그대는 이미 순교했다. 우리는 그대가 살아온 것만으로도 죽음보다 강한 사랑의 전율을 보았다.) 1. 함박 눈 그대가 순교의 강기슭에 섰을 때 하늘땅이 손 맞잡고 막아서며 하얗게 내렸던 함박 눈 그때 그 함박눈을 어찌 차디찬 겨울눈이라고 하랴 얼어붙은 북한 땅을 체온으로 녹이며 그대가 뜨겁게 흘렸던 기도의 눈물 하여 축복하리라 굽어 살피리라 그대의 머리위에 얹으셨던 예수님의 부드러운 손길 오! 그래서 그대 품에 원 없이 젖고 싶어서 희생하는 몸인 줄 알면서도 그 사랑에 간절히 매달렸던 북한 주민들의 한 맺힌 소원들 2. 외투 얼음 위에 발을 올려놓으면서도 차마 따뜻하게 갈 수 없노라 그대가 벗어놓고 간 강기슭의 외투 헐벗은 동포들을 찾아가는 길이기에 모진 겨울 함께 하리라 기어이 덜어놓고 간 그대의 더운 온기 그대가 남기고 간 그 외투는 고통 받는 이웃들을 잊지 말라고 우리에게 간절히 부탁하며 남긴 풍요의 양심 3. 28살 단일민족 반만년 그 영광이 무엇이란 말이냐 독재의 반쪽 땅을 허용하며 오늘도 우리의 삼천리는 분단의 반백년을 넘겼는데 아니 우리 7천만이 이리도 못 낫단 말인가 민족의 이름을 외치며 십자가를 짊어진 그 순교자가 아직도 한 생의 반도 못 산 28살! 28살이 아니었더냐 4. 두만강 북쪽의 두만강은 대대로 눈물이 흐른 강 지금은 흘러 갈 자유마저도 차디찬 독재에 얼어 묶인 비극의 강 허나 그대가 넘는 순간 자유의 바다를 알게 된 강 암초에 부딪치고 부서져도 사랑으로 이어짐을 믿게 된 아 성령의 강 5. 자유 그 어느 시인은 노래했더라 사랑을 위해서는 목숨도 버릴 수 있다만 자유를 위해서는 그 사랑도 바칠 수 있다고 그대는 우리에게 새롭게 깨우쳤노라 자유를 위해서는 사랑도 바칠 수 있다만 더 큰 사랑을 위해서는 그 자유도 기꺼이 버릴 수 있음을 6. 인권 불쌍한 삶들을 알았을 때부터 같이 춥고 함께 굶으며 살아도 살지 않았던 그대 떠나며 남긴 마지막 그 한 마디 속에조차 자기를 구하지 말라며 목숨마저 남기지 않았던 그대 순교하는 최후의 기도까지 죽은 자 산 자들을 위하여 모두가 돌려주며 일어선 그대 고통 받는 사람들의 삶을 위해 자기의 인권을 포기한 그대이기에 우리는 숙연한 마음으로 돌아보노라 참으로 나누어야 할 우리의 인권을! 7. 너를 통해 본 예수님 그런 분이시었구나 예수님은 눈물이 참 많으신 분이시었구나 로버트 박! 그래서 그대 또한 북한 동포의 서러움 모아 쥐고 기도하며 울고 또 울었었구나. 예수님의 하루는 인간을 위한 배고픔이셨구나. 하기에 민족의 젊은이여 그대도 300만 아사자를 가슴에 묻고 금식 기도로 청춘을 보냈었구나. 어쩌면 십자가도 예수님의 속절없는 운명이었구나. 그 핏줄을 이어받았기에 총구를 피한 것이 아니라 기어이 찾아간 그대 아닌가. 아 북한 땅이 너무 모질어 원망했던 예수님의 사랑인데 아니었구나. 예수님의 아들인 그대가 12월 25일이 없는 그 땅에 12월 25일을 가져갔구나 "내 딸을 백원에 팝니다" 저자 장진성
신고 0명
게시물신고
|
따라서 탈북자들과 북한의 민중들에게는 감사해야 할 행동이라고 볼수도 있겠다.
그러나 우리 외부의 사람들은 그가 왜 북한으로 들어 갔는지를 알지만 북한의 사람들에게는 미국인 1명이 불법 입국했다는 정도로만 알려졌을 것이다.
그는 북한이라는 땅을 너무도 모르고 준비없이 흥분에 젖어 뛰어 들었다.
그러나 그것은 철저한 불법입국이었다.
물론 북한의 인권을 위하여 뛰어 들어 갔다고 아무리 그의 친구들이 우겨도
북한 정부의 입장에서는 철저한 승인되지 않은 불법 국경 도강이었다.
그러면 응당 해당국가의 법에 따라 처벌을 받아도 할 말이 없다.
더우기 그는 실수가 아니라 고의적인 불법 입국자이다.
한마디로 아무리 인권을 운운하는 사람이라 해도 다른 주권국가의 법을 위반하라는 권리는 없다.
만약에 국경에서 중국병사나 북한군 병사가 병사가 총으로 쐈다고 해도 할 말은 없는 처지다.
한마디로 북한의 수법을 너무도 모르고 젊은 기분에 잠시동안 붕 떴던 그는 이성을 되찾은 후에 자신의 잘못된 생각을 인정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물론 그의 거사는 인정해야 할 의로운 행동임은 틀림이 없다.
그러나 조직적인 성격을 띠지 못하다 보니 결과는 그닥 좋지만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