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새누리당이 지난 몇 달간 비례대표 의원들을 잇따라 지역 조직위원장에 임명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례 의원들이 임기를 2년 가까이 남겨놓은 상태에서 이번처럼 지역 조직위원장 자리를 한꺼번에 꿰차는 일은 이례적이라는 게 공통된 얘기다.
13일 현재 새누리당 비례대표 의원들 가운데 박창식(경기 구리), 손인춘(경기 광명), 이재영(서울 강동을), 민병주(대전 유성), 조명철(인천 계양을) 의원이 각 지역의 조직위원장 또는 당협위원장을 맡고 있다.
대선 때 대변인을 지낸 이상일 의원, 청년 비례대표 출신의 김상민 의원도 각각 경기 용인을, 경기 수원갑 조직위원장 공모에 응모해 현재 당 조직강화특위의 심사를 받고 있으며 조직위원장 선정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19대 국회에 진출한 새누리당 비례대표 의원 27명 가운데 5명 중 1명꼴로 4년 임기 절반을 지나기도 전에 자신의 '지역구'를 갖게 된 셈이다.
여기에는 당 지도부가 비례 의원의 지역구 진출을 도우려는 분위기가 작용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13일 "현역 비례 의원들이 원하고, 지역에 연고도 있다면 조직위원장으로 우선 임명하려는 분위기가 있다"고 전했다.
비례 의원으로서도 나쁠 게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선 조직위원장을 맡으면 차기 총선 출마에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된다. 일찌감치 지역 기반을 다지면서 지역구 의원으로 '재선' 준비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과거 총선 공천 때마다 비례 의원들은 이미 당의 '혜택'을 받은 의원들로 인식되며 지역구 공천에서 배제되거나, 불리한 지역에 배정됐던 관례에 비춰보면 이들이 서둘러 2016년 20대 총선에 대비한 움직임에 들어갔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6·4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비례 의원들의 잇단 조직위원장 임명은 당 조직 정비 차원의 성격이 강해 보인다.
조직위원장은 당협위원장 선정을 위해 거치는 '형식적 절차'와 같은 단계로 지방선거, 전당대회에서 지역의 조직을 이끄는 중요한 임무를 맡게 된다.
바로 이 점이 일부 의심을 부르는 대목이기도 하다.
일각에서는 현재의 당 지도부가 오는 7월 차기 전당대회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내 사람 심기'를 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입법부에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지닌 의원들을 '수혈'받기 위해 도입된 비례대표 제도의 취지가 퇴색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일부에서 나온다.
조직위원장을 맡으면 지역구 관리에 시간과 노력을 할애할 수밖에 없어서다.
하지만 비례대표가 정치 신인의 국회 진출을 돕는 등용문 성격이 있기 때문에 비례 의원들이 지역구를 배정받아 계속 의정 활동을 하려는 것을 문제삼을 수는 없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4/04/12/0502000000AKR20140412035300001.HTML
근데 지역구 당협위원장 임명과 공천은 전혀 100% 별개란걸 알아야 되요....
조명철 의원은 당협위원장이지만 공천도 어렵지만 설령 공천을 받는다쳐도 이정현 의원같은 열정 없으면 100%낙선입니다.
비례대표 의원에게 지역구 당협위원장 임명은 그저 현역의원이기에 모든 사정을 감안해 달랠겸 그냥 떡하나 주는 겁니다.
아무 의미가 없는 거에요...
막상 공천심사 시작되면 오로지 지역구에 여론에서 앞서는 사람이 최고지요
동지회는 이 남한 제도에서 돈 벌었다는것이 비합법적 방법이 아니고는 문제시 될것이 없는데 왜 민감하게 반응하며 매번 삭제 하는가? 표현이 자유에 대한 구속과 책임이 무언지 문의 될수 있어요!
먹고 쓰고 도 입국 한 때로부터 평균 일년에 일억 넘게 벌수 있는 그 노하우 넌 배우고 싶지 않냐? 이 철 지난 사람아.가방 소리 하고 자빠 졌네
그것이 노하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