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광장

토론게시판

상세
인민군의 추억
Korea, Republic of 역시나 0 719 2017-11-20 12:26:01

이국종 교수는 귀순한 북한군 병사의 소장에서 20~30cm 길이의 기생충 50여 마리를 잡아냈다고 한다. 가장 큰 기생충은 길이가 무려 27cm에 달했다고. 때문에 이국종 교수팀은 북한군 병사의 손상된 소장을 40~50cm 가량 절제했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도 소장 속에 기생충이 수백 마리 남아 있을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판문점 일대에 근무하는 북한군 장병은 4촌 이내에 전과자가 없고, 충성심이 강한 사람들만 뽑아 배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언론의 보도처럼 평양 최고위층 엘리트 집안 자녀들은 아니지만 나름대로는 권력과 가깝고 신체 건강한 사람만이 배치된다고 한다.

귀순한 북한군 병사 또한 그렇게 보인다. 이국종 교수가 브리핑에서 밝힌 데 따르면, 귀순 병사의 키는 170cm, 몸무게는 60kg으로, 최근 한국 남자 고교생 평균 키와 체중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북한에서는 꽤 건장한 체격에 속한다.

그럼에도 이처럼 심각한 기생충 감염이 있는 이유는 뭘까. 탈북자들은 “북한의 식량공급 문제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기생충에 감염된 사람이나 가축의 분뇨를 거름으로 쓰면 기생충 알이 농산물에 붙는다. 이를 수확해 사람이 먹으면 기생충 감염이 심해진다.

북한에서는 농사를 지을 때 화학비료가 모자라 인분으로 농사를 짓는 곳이 많다. 지난 3월 ‘자유아시아방송(RFA)’은 “北노동당이 주민들에게 가구당 1톤씩의 인분을 당국에 내라고 해 원성이 자자하다”는 북한 소식통의 이야기를 전했다. 구충제마저 구하기 어려운 북한에서 인분을 농사에 사용한다면 기생충 감염이 심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북한 정권이 주민들에게 강요한 '거름 밀어내기 전투'의 한 장면. 김정은 정권은 지난 3월 주민들에게 가구당 1톤의 인분을 상납하라고 지시해 원성을 사기도 했다. ⓒ北선전매체 화면캡쳐.
▲ 북한 정권이 주민들에게 강요한 '거름 밀어내기 전투'의 한 장면. 김정은 정권은 지난 3월 주민들에게 가구당 1톤의 인분을 상납하라고 지시해 원성을 사기도 했다. ⓒ北선전매체 화면캡쳐.

장마당을 통해 중국산 비료를 구매해 사용할 수 있는 민간인들은 그나마 낫다. 가장 심한 곳은 바로 군대다. 북한군은 한국과 달리 식량이나 피복 등의 생필품은 제대로 보급하지 않는다. 특히 식량의 경우 ‘자급자족’을 하는 부대가 대부분이다. 한국 측 GOP에서 바라보면, 평일 일과시간에 농사를 짓는 북한군 병사들을 적지 않게 볼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비료 없이 인분으로 농사를 짓는 북한군 내에 기생충 감염률이 높은 것은 당연지사다.

북한의 기생충 감염이 어느 정도 심각한 문제인지는 국내 의료계에서도 제기한 바 있다. 2015년 11월 18일 ‘대한의사협회’ 산하 ‘의협신문’은 “북한의 높은 기생충 감염률이 통일 이후에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것”이라는 세미나 발표 내용을 보도했다.

대한의사협회가 창립 107주년 기념으로 2015년 11월 14일에 개최한 세미나에서는 북한 의료 서비스의 실태를 조명했다고 한다.

당시 홍성태 서울대 의대 기생충학 교수는 “1950년대 60% 이상이었던 한국의 장내 기생충 감염률은 1990년대 1% 이하로 줄어든 반면, 북한에서는 여전히 57.6%로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하며 “통일 이후 북한에 기생충 관리사업 전담기구를 만들어 검사와 투약 규정을 만들어야 사업 수행 5년 이내에 감염률을 10%대로 낮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홍성태 교수는 북한의 기생충 감염률을 낮추기 위해 전담기관 구축비 370억 원, 기관 운영 및 인건비 40억 원, 구충제 비용 30억 원, 검사 소모품 비용 10억 원에다 사업 운영 등에 연간 100억 원 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패널을 맡은 심서보 건국대 의대 교수는 “향후 남북한이 통일되면 3년 이내에 200만 명의 북한 주민이 한국으로 내려올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북한의 높은 기생충 감염률이 한국 사회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의사협회가 나서서 북한 의료 현실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홍성태 교수나 심서보 교수와 같은 주장과 지적은 이때뿐만 아니라 탈북자들이 한국으로 대거 넘어오기 시작한 2000년대 초반부터 있어왔다. 하지만 DJ정부나 盧정부는 북한 주민들의 기생충 구충사업보다는 김정일 정권과의 ‘협력’에 더 큰 관심을 둬 별 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2008년 7월 故박왕자 씨 총격 살해 사건과 2010년 3월 천안함 폭침, 같은 해 11월 연평도 포격도발로 대북지원이 사라진 이후로도 정부는 북한 주민들의 기생충 감염 문제에는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JSA 귀순 북한군 병사의 기생충 감염은 통일이 그저 ‘장밋빛 미래’가 아니라 한국 사회에 상당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도 품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  
  • 전경웅 기자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 약먹으면없어져요 ip1 2017-11-20 14:07:11
    그 자꾸만 좀 과대포장좀 하지마시요
    우리도 어렸을때 꼬마때 쪼끄말때 회충 요충 기생충 엄청 나왔어요 옛날에
    그 뭐시냐 똥장군 지고 밭에 비료 대신 뿌릴때
    약 먹으면 없어져요
    그냥 아 지금 북한 보건환경이 안좋은가 보구나 열악한가보구나 우리 옛날처럼
    그냥 그렇게 이해 하면 될걸 꼭 부풀리고 확대 해석해서
    과장해서 아이구 아이구 큰일났네 큰일났네
    우턱허니 우턱허니
    오두방정은
    염~병할~~~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삭제
  • 아프지말라 ip2 2017-11-20 14:23:32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통해 귀순하다가 북한군의 총격으로 부상을 입고 병원에서 치료 중인 북한 병사가 현재 폐렴과 B형 간염, 패혈증 등의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20일 동아일보는 귀순 병사가 입원 중인 경기 수원시 아주대병원 관계자를 인용해 “환자의 가슴 사진에서 폐렴이 진단돼 치료 중인데 B형 간염까지 발견됐다”며 “패혈증까지 걸려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폐렴은 총상으로 폐 일부가 손상되면서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라며 “패혈증은 다량의 혈액 주입과 복부 총상으로 인한 감염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병원 측에서 귀순 병사에게 주입한 혈액은 사람 몸 안 전체 혈액의 3~4배에 이르는 40유닛(약 16L) 정도로 알려졌다.

    이 병사가 처음 병원에 도착한 지난 13일에는 혈압이 70mmHg 이하로 떨어져 회복할 수 없는 수준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상황이 급박해 이 병사는 병원에 도착하자마자 컴퓨터단층촬영(CT)조차 하지 못하고 바로 수술에 들어갔고 혈액형도 판정할 시간이 없어 응급용 O형 혈액을 수혈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에선 “환자가 이런 상황을 버티고 있는 것 자체가 신기할 정도”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귀순 병사는 지금까지 아주대병원에서 두 차례 수술을 받았다.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삭제
  • 횡설수설 ip3 2017-11-20 15:06:22
    기생충은 별것 아님.
    약만 먹으면 잘 퇴치됨.
    이번 기회에 북한에 정기적으로 구충제를 보내주면 좋겠구만.
    그런데 구충제 보내준다고 하면 북한에서 자존심 상할 수도 있어서 말 꺼내기도 힘들겠구만.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삭제
  • 아닙니다 ip4 2017-11-22 20:00:09
    약만 먹는다고 수년내에 전체 감염율이 10%이하로 줄어드는게 아니고 근본적으로 수세식 화장실의 보급으로 기생충감염율이 획기적으로 낮아졌어요. 약을 계속 먹인다고 저렇게 확 줄지 않아요. 근본적으로 없애는건 수세식 화장실의 보급과 비료사용입니다. 결국, 통일되서 남한사회를 복제하면서 수년안에 수많은 북한사회의 문제점들이 상당수가 없어질겁니다.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삭제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토론의 세계
다음글
추미애 대표의 지대 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