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광장

자유게시판

상세
[한울신간안내] 현대 북한연구의 쟁점 1
한울이 0 270 2005-08-02 16:53:33
[한울신간안내] 현대 북한연구의 쟁점 1


현대 북한연구의 쟁점 1


“북한학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한다”
-왜곡된 편견과 과도한 비판에서 벗어나 합의를 모색하는, 북한학 연구의 모범적인 지침서-


◤ 이 책은…
북한연구의 쟁점들에 대한 검토가 북한연구의 현황과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이해하고, 연구자간 입장과 경향의 차이를 넘어서서 학문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북한연구에서의 주요 쟁점들을 분석하였다. 예를 들어 주체사상 연구에서, 주체사상의 ‘종언’ 또는 ‘퇴조’를 주장하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정반대로 심각한 대내외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시각이 있다. 그리고 주체사상의 ‘종언’ 또는 ‘퇴조’를 주장하는 연구자들간에도 ‘종언’ 또는 ‘퇴조’의 시점과 그것이 무엇으로 대체되었는가에 대해 매우 상이한 해석들이 제시되어 왔다. 또한 김정일의 출생장소와 리더십, 북한체제의 내구력 등 많은 주제들에 대해서도 다양한 해석들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모든 주장들이 옳고 동일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 존재하는 다양한 해석들을 소개하면서도, 각 해석이 과연 얼마나 구체적이고도 설득력 있는 근거에 기초해 있는가를 가능한 한 면밀히 검토하였다.


◤ 핵심 요약
주체사상 연구

북한의 체제와 사회를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주체사상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에 대해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주체사상에 대한 심층적‧객관적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아직까지도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북한연구에서 전반적으로 발견되는 ‘양적 풍요와 질적 빈곤’이라는 문제점이 주체사상 연구에서 역시 그대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은 북한연구 입문자들 및 전문 북한연구자들에게 주체사상과 관련하여 어떠한 쟁점들이 존재하는지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소개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독자들은 이 글을 통해 북한의 주체사상에 대해 우리 사회에서 얼마나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북한체제의 내구성

북한체제를 두고 붕괴론과 지속론이 반복적으로 대립되다가, 2002년 북핵문제가 다시 대두되고, 이어서 이라크전쟁에서 승리한 미국이 북한에 대한 강경자세를 고수하면서 다시 북한붕괴론이 부상하기 시작하였다. 북핵을 중심화두로 하는 주변국들의 압박 속에서 결국 북한은 다시 붕괴의 기로에 섰다는 입장인 것이다. 여전히 북한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믿는 학자들도 북한체제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다. 경제개혁을 통해 최소한의 경제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않고서는 주민의 복종을 계속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북한붕괴론과 변화론, 북한지속론의 부침을 보면서 자문하게 되는 것은 북한체제를 유지시키는 힘이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북한체제가 많은 사람들의 예측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경제난과 대외적 고립, 탈북사태까지 견디면서 아직까지 생존하게 만든 요소는 무엇일까?
이 연구는 북한체제 붕괴론과 북한체제 지속론의 입장을 비교 점검하면서 사회주의 체제전환 이론의 쟁점과 북한체제의 내구성에 관한 쟁점을 정리해 보고, 그를 통해 북한체제의 내구성 및 변화 여부를 진단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문학

북한문학 연구는 양적인 팽창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질적인 면에서 심도 깊은 진전을 이루지 못하였음은 북한문학 연구사를 검토한 연구자들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북한문학 연구가 질적인 발전을 이루지 못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는 북한문학 연구가 연구자들의 전향적 태도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북한 문학은 그 자체로서 다른 뿌리에서 생성된 관점을 갖고 있기에 북한문학 연구를 위해서는 북한식 문학관, 예술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북한 문학의 특수성과 독립성을 인정하지 않은 연구는 북한 문학을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문학의 후기적 양태, 그것도 정통사회주의문학도 아닌 정치체제를 위하여 왜곡된 문학, 정치를 비판하기보다는 정치에 완전히 종속된 문학, 그래서 문학이라고 할 수 없는 구호라는 틀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북한의 대외관계

북‧중, 북‧러, 북‧일, 북‧미 관계 등 북한의 대외관계를 분석함에 있어서 기존 연구의 성과와 과제들을 다루면서 쟁점들도 함께 분석하였다.
북한의 대외관계 연구에서 특히 미국과의 관계는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북핵문제가 대두되고, 이라크전쟁에서 승리한 미국이 북한에 대한 강경자세를 고수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통일을 앞두고 있고 그러나 미국의 눈치도 봐야 하는 우리의 현실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인 것이다.


◤ 독자 대상
북한학을 전공하는 학생, 대학원생, 연구원, 통일문제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


◤ 구 성
제1장 주체사상 연구의 쟁점 정성장
1. 문제의 제기
2. 주체사상의 형성시기 문제
3. 주체사상의 성격 문제
4. 주체사상의 ‘종언’ 또는 ‘퇴조’ 문제
5. 맺음말

제2장 김정일 연구의 쟁점과 과제 이수석
1. 머리말
2. 김정일 연구의 쟁점(1)
3. 김정일 연구의 쟁점(2)
4. 김정일 연구의 한계와 과제
5. 맺음말

제3장 북한체제의 내구성 평가에 있어서의 쟁점 윤미량
1. 머리말: 북한체제 붕괴론과 북한체제 지속론
2. 사회주의 체제전환 이론과 쟁점
3. 북한체제 붕괴론의 논거와 쟁점들
4. 북한체제의 내구성: 개인적 평가
5. 맺음말: 향후 연구과제

제4장 북한문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전영선
1. 머리말
2. 북한문학 연구의 경과
3. 북한문학 연구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논의의 과제
4. 맺음말

제5장 북중관계 연구의 현황과 과제 신상진
1. 머리말
2. 북중관계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3. 북중관계 연구의 주요 쟁점
4. 맺음말: 북중관계 연구의 과제와 방향

제6장 북러관계 연구의 성과와 과제 우평균
1. 머리말
2. 북러관계 결정요인과 영향력
3. 시기별 북러관계 연구의 내용과 쟁점(1945.8.15.~1990.9.30.)
4. 한소수교 이후의 북러관계 연구 동향과 쟁점 제기
5. 맺음말: 북‧러관계 연구에서의 시사점

제7장 북미관계 연구의 쟁점과 과제 서보혁
1. 머리말
2. 북한의 대미정책 연구에서의 쟁점
3. 미국의 대북정책 연구에서의 쟁점
4. 북미 양자관계 연구에서의 쟁점
5. 향후 연구과제

제8장 북‧일관계 연구의 성과와 과제 진희관
1. 머리말
2. 북한과 일본의 상호 인식
3. 북일관계 연구 동향
4. 북일관계 연구의 과제
5. 맺음말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이보라우동무
다음글
대충격 동무! 우리는 우리식대로 살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