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풍선 동기 (1) |
---|
처음 할 때 누구도 쳐다보지 않던 대북풍선이 이제는 단골뉴스로 되고 남북관계의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사역으로 부각 되었다. 민간인으로서 삐라를 처음 날리기 시작한 시기는 2003년 10월, 그러나 삐라를 보내야한다고 생각한 것은 훨씬 이전, 북한에 있을 때부터이다. DMZ 가까운 고향에서 여름비속에 남조선삐라가 나비처럼 떨어지는 것을 자주보군 하였다. 그럼에도 기억나는 내용은 없고 단지 마을 할머니가 편지형태로 보낸 삐라의 주소가 북한이 맞는 가 물으시던 기억이 날 뿐이다. 그 남아 중학교 초기 평양근방으로 이사를 가 볼 수 없었다. 성인으로 다시 본 것은 1990년 8월 철원군 대전리에서이다. 난생처음 홀딱 벗은 처녀도 그때 보았다. 솔직히 대부분 삐라는 북한정서에 맞지 않아 별로 감동이 없었다. 오히려 역 후과, 즉 나체사진은 끌리지만 대신 사상적 결과는 가 바로 이런 것이로구나 하고 확신시켜주는 꼴이었다. 또한 실례로 등 영어식발음은 미국식민지가 틀림없어보였다. 북에서 흔히 쓰는 웽그리아, 뽈쓰까 라는 단어하나 생각지 못하고 더구나 민족혼도 없는 자들이 우리를 설득해?! 하면 벌써 재치고 들어가는 것이었다. 이런 초보를 모를 수 없겠는데 아마 그 속에 분명 우리사람(북 간첩)이 있는 것 같아 보일 정도였다. 그러나 그 의심은 탈북 후 남한에 와서 금방 풀렸다. 대북심리전단에 간첩은 고사하고 정보심리학의 수재들이 앉아 있었기 때문이다. 치명적 문제는 북에서 살아본 탈북자를 한 명도 쓰지 않는데 있었다. 남조선삐라가 다 한심한 것은 아니다. 나의 인생을 바꿀 만큼 깊은 의문점을 남긴 것도 있다. 침략전쟁을 일으켜 불구대천의 원수로 여긴 6.25전범자를 뒤 바꾸게 한 것이다. 비교할 수없는 폐쇄사회임으로 흐르쇼브 회고록이나 귀순인민군장교 이학구대좌의 증언소리는 안 들어와도 왜 3일 만에 서울 먹히었겠는 가고 한 것이 뇌리에 박힌 것이다. 과연 어느 쪽이 거짓말 할 가?! 가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너무나 중대한 문제의 진실은 내 절로 간단히 연구해냈다. 전쟁초기참가자와 3.8선주민에게 조용히 물어보면 될 것이었다. 정말 물어보니 남조선삐라가 사실이었다는 것이 충격이었다. 더 놀랍도록 충격을 준 것은 남조선사람들이었다. 왜 이런 진실을 분단반세기동안 한마디로 깨우쳐주지 못 했을 가 이다. 간단히 만 반복해 보냈더라면 북한악령의 기주인 증오의 철학, 혁명주의 근간이 무너지겠는데 말이다. 북한사상의 중추 수령숭배도 마찬가지이다. 만화로 김 부자 혹 달리고 배 튀어 나오게 하는 식보다 고 반복 또 반복하여 보냈다면 저렇게 눈물 흘리며 만세 부르지 않았을 것이다. 과 문제도 간단한 것이다. 당시 삐라에서 본 한강시민공원의 자가용차 가족사진을 보내서 해결할 수 없다. 사실은 사실이지만 폐쇄 하의 공산당 선전술을 도무지 이길 수 없다. 저것은 부자 몇 놈들 사진이야 하면을 그만이기 때문이다. 이것도 한마디로 해결, [다음호에 계속]
신고 0명
게시물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