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뉴스

뉴스

상세
"北, 러 벌목사업 축소…건설사업으로 눈돌려"
데일리NK 2011-08-07 15:34:43 원문보기 관리자 1241 2011-08-08 12:10:40

북한이 외화벌이를 위해 시작한 러시아 벌목 사업이 사실상 이익을 내지 못해 각 지역 사업소를 대폭 축소하고 있는 대신 군부 기업소들의 건설사업을 확대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러시아 원동(극동)임업대표부에서 30여년 동안 일하다 탈출, 지난 2008년 입국한 김광철(가명)는 5일 데일리NK와 인터뷰에서 "북한의 러시아 벌목 사업은 김일성, 김정일 생일에 북한에 목재를 보내는 수준일 뿐 외화벌이 차원에서는 별 이득을 내지 못하고 있다"면서 "그저 러시아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임업대표부를 운영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과 러시아가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는 '협정'으로는 목재벌채협정이 유일하다. 1967년 북·러간 맺은 목재벌채협정에 의해 시작된 러시아 벌목 사업은 1990년대 초반 2만여명이 넘는 북한 노동자들이 벌목공으로 파견됐을 정도로 주요 외화벌이 창구 노릇을 하기도 했다.

북러간 목재벌채협정에 의해 러시아는 벌목 임지와 설비, 전기 등을 제공하고 북한은 노동력을 제공해 양국은 벌목한 목재를 나눠 갖도록 돼 있다.

김 씨는 "현재 북한 벌목공들이 나무를 벌채하면 러시아가 72% 북한은 28%를 가져가는데, 북측 몫의 나무를 중국 무역업자들에게 팔아서 번 돈의 대부분이 벌목공 임금, 숙식비, 임업대표부 운영비로 나간다"면서 "러시아가 시장경제를 받아들이면서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해 사실상 북한 당국에 보낼 외화를 벌어들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중국이 최근 러시아에 돈을 더 주고 벌목 사업을 가져가면서 북한 벌목공들은 고향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면서 "또 최근에는 임금 체불 등에 대한 불만을 가진 일부 벌목공들이 집단 항의를 하는 일이 벌어져 이들을 모두 북송하고 있기 때문에 인원과 사업 규모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김 씨는 "예전에는 틴다 지역과 하바로브스크 지역에 무역 대표부가 있었는데, 현재는 틴다 지역 에만 있고, 그 산하에 7개의 임업사업소가 있다"면서 "하바로브스크 지역 대표부는 최근 없어졌졌으며, 현재 러시아 전역에는 총 9개의 임업사업소만 활동 중"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임업 대표부에는 대표, 기사장, 부대표 등이 있고 대표부 아래 당 위원회 소속 책임비서, 조직비서, 선전비서가 있다. 각 비서 아래 일꾼 2~3명 씩이 있고 벌목공들을 감시하는 보위부원들까지 포함한다 해도 전체적으로 대표부 인원 규모는 얼마 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 씨에 따르면 현재 러시아에는 임업을 비롯해 건설, 농업, 광업 분야 등에 수만여명의 북한 노동자들이 파견되어 있으나,  임업과 농업을 통한 외화벌이는 신통치 않은 상황이다. 중국인들과의 '저임금' 경쟁에서 북한이 밀려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북한 임업성 소속으로 러시아에 가 있는 노동자들은 80년대 초반 2만여명이 넘었지만 현재는 하바롭스크에 약 4000명, 변방에 2000명으로 총 6000명 정도밖에 없다"면서 "이중에서도 2000여명은 벌목사업이 아닌 건설 부분에 파견 나가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오히려 군부대 소속 기업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추세다. 김 씨는 "북한 공군 사령부가 러시아 공군과 협력해 비행장 주변 지역에 농사를 지어 나눠 갖는 형태의 사업도 있다"면서 "정찰총국까지 포함하면 북한 군부에서 최소 수만명을 러시아에 내 보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김 씨는 또 벌목공들의 이탈이 지속적으로 늘어 현재 러시아 거주 탈북자 규모가 600여명 이상일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2006년 임업성 간부들이 러시아 일대를 돌면서 탈북자들을 회유해 본국으로 데리러 가려고 했으나 러시아에서 정착해서 살고 있는 탈북자들은 이를 듣지 않았다"면서 "당시 러시아에 598명의 탈북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는 더욱 늘어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 정부는 중국처럼 탈북자를 강제 북송하지 않기 때문에 탈북자들이 결혼도 하고 일도 하면서 러시아에서 살아고 있다"면서 "러시아 경찰 당국은 강제 북송된 탈북자들이 공개처형을 당하거나 가족들이 처벌 받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2005년부터 탈북자들을 인도적 차원에서 난민 취급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 당국은 러시아 지역 탈북자들이 늘자 국가안전보위부와 인민보안부에서 차출된 인력을 러시아에 파견해 탈북자 송환에 주력하고 있으나, 러시아 당국이 협조하지 않아 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북자들을 잡으러간 보위원들이 러시아의 자본주의를 경험해 탈북행렬에 동참하는 경우도 있다고 김 씨는 설명했다.  

벌목공들의 탈북 원인으로는 임금착취와 인권유린이 대표적이다. 김 씨는 "노임도 잘 주지 않고 먹을 것도 잘 안 주면서 일만 시킨다"면서 "예전에는 일이 없어서 논 적은 없었는데 이제는 일도 없어 쉬는 날도 많아 기업소 자체적인 수입이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서 임금이 수 개월씩 밀려서 나오고, 식비와 당비(黨費) 등 이것저것 떼면 노동자들은 고작 50-60달러나 손에 쥐게 된다는 것이다. 고향에 몇푼 송금하고 나면 노동자들에게 남는 돈이 거의 없어 현지 생활이 무척 어렵다고 한다. 

물론 임업사업소 별로 노동자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는 여전하다. 매주 생활총화나 당조직별 조직생활이 강제된다. 또 이탈자 방지를 위해 노동자들끼리 서로 감시하게 하고, 중대별로 보위원이 점검하토록 통제질서를 두고 있지만 생활고에 치인 노동자들의 탈북행렬은 계속 늘어가고 있다.

김 씨는 "벌목공 대부분은 돈을 벌어 고향에 돌아가려고 한다"면서 "만약 탈출했다가 잡히는 날에는 무조건 북한으로 송환되고, 본인과 직계가족 모두 교화소나 관리소 등으로 보내진다"고 말했다.

김용훈 기자

원문 보기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 hong ip1 2011-08-12 16:13:00
    정일이는 할 짓 없어서 변덕부린다 저거...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北, 중국에 군사훈련 제안했다 거절 당해"
다음글
北선전매체 中 현지음으로 표기방식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