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뉴스

뉴스

상세
"北주민, 시간제한 없는 '집매대' 상품구매 선호"
데일리NK 2015-01-22 15:40:53 원문보기 관리자 429 2015-02-16 21:28:45

북한 주민들이 시장보다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구멍가게 형태의 일명 '집 매대'를 선호하고 있다고 내부 소식통이 알려왔다.

평안남도 소식통은 22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집 매대(구멍가게)는 신용만 있으면 상품을 받을 수 있고, 팔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살림집 한 칸을 매대로 만들어 주·야간 상품을 파는 주민들이 점차 늘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집 매대'는 1990년대 주로 학교 주변에서 학생들 간식거리를 팔기 위해 작은 규모로 시작됐다. 그러다가 몇 년 전부터는 집을 개조하거나 증축해 각종 가전제품(TV, 냉장기, 세탁기 등)을 비롯한 식품 등을 대량으로 판매하고 있다.

소식통은 "집 매대는 투자부터 유통, 판매까지 가족이 한 회사처럼 24시간 운영하기 때문에 손님들에게는 물론 운영자에게도 편리하다"며 "밑천이 없어도 집 매대만 꾸리면 판매상품을 외상으로 받을 수 있고, 주민들에게 외상으로 팔기도 해 '신용 매대'로 불리기도 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집 매대가 장마당(종합시장) 매대보다 좋은 점은 농촌지원시기 시간 통제나, 단속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또 종합시장처럼 자릿세도 없고, 상품을 시장 경비에 맡기거나 집으로 가져가야 하는 부담도 없어 모든 점에서 편리하다"고 설명했다. 

북한에서 매대는 보통 종합시장 매대, 도로나 길가에 있는 편의봉사망 매대, 국영상점 매대, 집 매대로 나눈다.  

종합시장 매대는 보통 50~60cm 정도로 자릿세를 시장 관리소에 내면 할당받을 수 있다. 도로 주변에 1.5~2m 정도 폭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매대는 시, 군 편의봉사관리소 소속으로 매월 수입의 10%를 내야 한다. 국영상점 매대는 개인이 국영상점을 임대해 상품을 도소매하면서 임대료를 지급하는 형태다.

소식통은 "집 매대는 주민 거주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입소문이 나 지역 주민들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품을 구매한다"면서 "구매한 상품이 많으면 배달 서비스는 기본"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부정으로 돈을 벌어들인 간부들과 돈주(신흥부유층)들이 종합시장과 상점에서 상품 구매하면 소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공개될 수 있지만, 집 매대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이런 걱정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집 매대는 "신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지만, 가격흥정은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고 소식통은 말했다. 

설송아 기자

원문 보기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북한, 산림조성 부진지역 비판…"말보다 실천" 강조
다음글
북한 "美 '푸에블로호' 사건 잊지말라" 강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