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광장

자유게시판

상세
대한민국..독립운동사. 02편. (한국무정부주의운동의 기원).
Korea, Republic of 돌통 0 221 2020-07-17 22:19:25
***  한국무정부주의운동의 기원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 무정부주의사상과 운동이 나타나게 된 것은 1919년 3·1운동 이후인 1920년대 초라 할 것이다. 넓은 뜻의 무정부주의사상은 우리민족의 사상사에도 노장(老莊)사상이나 도교적인 신선(神仙)사상, 동학(東學) 사상 등에 그 선구적 싹이 있었다고 할 수 있으나 근대적인 정치이념으로써 무정부주의가 대두된 것은 독립운동 속에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 등 서구의 정치사상이 도입되면서 젊은 세대 속에 애너키즘(Anarchism)의 지지자가 나타났다.
 
 
애너키즘은 그 성격이 독립운동 속에 도입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다양하였는데, 그 이념이 목표로 하는 자유연합(自由聯合)의 평등사회(平等社會)의 실현에 그 역점을 둘 때도 있고, 강권(强權)과 정부(政府) 및 국가권력에 반대하는 반강권의 주장에 공명(公鳴)하는 경우, 그리고 반강권적 투쟁수단으로서 암살과 폭력을 서슴치 않는 개인적 테러리즘의 정당화에서 그 뜻을 찾는 경우도 있다.참고.. 논문에서는 韓國無政府主義運動史編纂委員會,(한국무정부주의운동사편찬위원회)  『韓國아나키즘運動史』(한국아니키즘운동사)를 많이 참고하였음을 밝혀둔다.
 
 
 
1905년에서 1920년까지의 기간에 애너키즘이 중국과 일본에 도입되는 데 따라 그 성격이 다르고 근대적 민중운동(民衆運動)으로서의 그 역할도 다르다.
 
우선 중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파리에 유학한 중국의 고학생회가 시작한 중국 무정부주의운동은 1907년 6월부터 이석증(李石曾), 장정강(張靜江), 저민의(?民誼), 오치휘(吳稚暉) 등이 주간지 『신세기(新世記)』를 그 후 3년간 간행하여 애너키즘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파리에서 크로포트킨(Kropotkin, Pyotr Alekseevich)과 쟝·그라브 등이 창간한 『신세기(La Tempoj Novaj)』의 영향하에 이석증 등이 전파한 『신세기』의 철학은 반(anti)과 찬(pro) 두 가지로 표현되었다.
 

 

반 ; 종교·전통·가족·방종(放?)·엘리트·통칟군국·국가주의
 
찬 ; 자유·과학·인도(人道)·폭력·혁명·코뮨·국제주의
 
 

이러한 반종교·반전통주의는 1907년 『신세기』에서 유교적, 주자(朱子)학적 전통의 부정을 통해 오랜 학정(虐政)과 부패한 전제정치에서 해방된 자유·평등사회 실현의 염원을 반영한 것이었고 중국사회 저변에 깔려 있던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노자(老子)의 ‘무치(無治)’의 사상의 전통도 무시할 수 없다. 신해혁명(辛亥革命) 전야에 중국에 들어온 애너키즘은 1905년 일본 도쿄(東京)에서 결성된 손문(孫文)의 중국혁명동맹회(中國革沒盟會)의 기관지 『민보(民報)』에도 사회주의와 더불어 바쿠닌(Bakunin, Mikkail Aleksandrovich)과 러시아의 애너키즘 사상가 크토포트킨이 소개되었다. 동맹회원인 장병린(章炳麟), 장계(張繼)와 특히 유사복(劉師復)은 행덕추수(幸德秋水 ; 고오도꾸 슈우스이), 계리언(堺利? ; 사까이 도시히꼬), 대삼영(大杉榮 ; 오오스기 사까에) 등과 접촉하면서 사회주의강습회(社會主義講習會)를 만들어 『천의보(天義報)』 등에 크로포트킨을 소개했다.
 
 
당시 미국에서 돌아온 행덕추수는 보통선거나 의회정책으로는 사회혁명을 성취할 수 없으므로 혁명의 길은 노동자의 단결을 통한 총동맹파업에 의한다고 주장하고 애너르고·센디칼리즘을 제창했다.
신해혁명 전야의 섭정왕의 암살 등 개인테러리스트였던 유사복은 광주(廣州)로 돌아와 회명학사(晦鳴學舍)라는 애너키즘 선전단체를 만들고 1912년부터 기관지 『회명』(뒤에는 民聲으로 改題)을 발행하고 『신세기』사의 간행물을 복각(復刻)하고 크로포트킨과 에스페란토어의 선전에 힘썼다.


파리유학에서 돌아온 이석증도 원세개(袁世凱)의 관직을 거절하는 등 애너키스트로서의 ‘불관주의(不官主義)’를 실천하고 동지 채원배(蔡元培)가 북경대총장(北京大總長)이 되자 생물학교수로 영입되었다. 그는 생물학연구에서 공산주의 사상을 버리고 상호부조론(相互扶助論)의 애너키즘으로 전환했는데 이때부터 우리나라의 신채호(申采浩) 등과 친교가 두터워졌다. 이석증은 뿌르동주의가 중국의 전통사상 중 ‘무캄를 이상으로 한 노자, 장자의 도가와 유사하다고 보고 패도(?道)에 해당하는 법가(法家)의 강권정치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와 러시아의 볼셰비즘이며 중국에서는 이사(李斯), 상앙(商?), 진시황(秦始皇)이 여기에 속한다고 주장했다.참고..申?俊(신()?준()) 「無政府主義者(무정부주의자) 李石曾氏(리석증씨) : 現代中國思想家列傳 ①」(현대중국사상가렬전 ①) 『東光』(동광)(1931. 2), p.136.
 
 
 
중국의 무정부주의운동은 자본주의적 모순에 대한 비판에서 생긴 공산주의의 길을 또 하나의 강권지배라고 해서 배격하고 근대화단계로 들어서기 위한 반봉건, 반강권의 자유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정치운동, 사상운동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결과적으로는 아시아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반정립(反定立)이기도 하고 또는 그것을 이끌어 들이는 전주곡이 된 선행사상(先行思想)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참고..  스칼라피노와 조지 T. 유, 중국 무정부주의 운동, 페이지 1
 


중국 애너키스트들의 주된 슬로건인 반통치, 반국가, 반군국은 봉건적인 전통사회에서의 부패한 관료지배의 비판이요 전제정치의 폭정에 대한 비판이었고 군벌지배와 일제 군국주의의 대두 앞에서 군국주의를 반대하는 기본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무정부주의자들은 군벌지배를 유지하려는 낡은 윤리도덕을 공격하고 전통적 권위의 철저한 부정을 통해 국민성(國民性)의 개조(改造)를 표방한 5·4문화운동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주었다. 당시 청년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던 것은 담사동(譚嗣同)의 『인학(仁學)』과 강유위(康有爲)의 『대동서(大同書)』와 더불어 유럽사상에서는 크로포트킨과 톨스토이였다.
 
 
1918년 채원배 등이 조직한 진덕회(進德會)의 신조는 유사복이 만든 12개조의 ‘계율’ 즉, ① 육식을 하지 않는다. ② 술을 마시지 않는다. ③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 ④ 몸종을 두지 않는다. ⑤ 인력거를 타지 않는다. ⑥ 결혼하지 않는다. ⑦ 성명을 사용하지 않는다. ⑧ 벼슬을 하지 않는다. ⑨ 의원이 되지 않는다. ⑩ 정당에 들어가지 않는다. ⑪ 군인이 되지 않는다. ⑫ 종교를 믿지 않는다 등을 계승한 것이었다.
 
 
1917년 실사(實社)라는 애너키스트단체가 북경대학생들로 조직되고 부정기간(不定期刊)으로 『자유록(自由錄)』을 내고 거기서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을 해설하고 노동자의 총파업을 논했다. 1918년 상해(上海)에서는 오치휘가 애너키스트선전지 『노동(勞動)』을 발간하기도 했다
1920년을 앞둔 시기의 중국의 사상계는 호적(胡適) 등의 실용주의적 실천파, 이대조(李大釗)·진독수(陳獨秀) 등의 마르크스주의, 주작인(周作人) 등의 인도주의파와 더불어 이석증 등의 무정부주의가 연출하는 사상적 격동기였다.
 
북경·상해 등지에 망명하고 있던 우리나라 독립운동자들 중에서 특히 이회영(李會榮), 신채호, 그리고 의열단원(義烈團員) 유자명(柳子明) 등이 중국 무정부주의자들과 연대하면서 한국 애너키스트운동이 형성된다.


3·1독립운동 이후 상해임시정부 내의 분파와 새로운 독립운동노선의 모색과정에서 중국 내의 한국독립운동 속에 애너키즘운동이 싹트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한국 애너키스트들의 운동은 중국이나 일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주의 또는 볼셰비즘이 도입되는 새로운 사회사상 수용의 전주곡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과격한 소련의 볼셰비키적 공산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대안(代案)으로서 일제의 군국주의적 강권의 부정을 위한 민족주의의 투쟁방법에서의 폭력주의 채용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수용된 측면이 두드러졌던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본과 국내에서의 애너키즘운동은 애너르고·센디칼리즘운동과 항일독립운동이 결합된 항일민족운동의 한 흐름이 되었다. 해방 후 한국 애너키스트들은 공산화된 북한을 기피하거나 김일성(金日成) 집단으로부터 적대시되는 대상이 되었다는 점에서도 볼셰비즘과는 그 노선을 달리하는 운동이었다는 증거가 된다.
 
 
 
이상..     03편에서 계속~~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대한민국..독립운동사. 01편. (신민부).
다음글
일제시대. 독립운동 역사..(1990년대 이후의 독립운동사의 연구는) 0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