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광장

자유게시판

상세
분단의 생성
Korea, Republic of 돌통 0 273 2021-02-22 19:48:32




●   1945. 8. 10 / 일본의 마지막 항복 조건



미국 국무-전쟁-해군 3부 조정위원회(SWNCC)에서 딘 러스크와 찰스 본스틸 두 사람이 이날 밤 38선의 초안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1960년대에 국무장관과 주한미군사령관을 지내게 될 사람들이지만 아직 대령급 실무자들이었다. 두 사람은 윗선에서 정해진 방침의 세부사항을 다듬었을 뿐이다.


미-소 양대국의 존재감은 2차 대전 진행 중에 드러났다. 연합국 진영 5대 강국이 유엔에서 안보리의 상임이사국 자리를 차지하지만 실세는 두 나라였다. 프랑스와 중국은 해방을 얻은 입장이었고, 영국도 양대 강국 덕분에 살아남은 입장이었다. 세 나라 모두 종전 시점에서 압도적 군사력과 생산력을 가지고 있던 미-소 두 나라의 눈치를 보는 입장이었다.


소련은 2차 대전 전체에서 큰 지분을 가진 나라였다. 태평양전쟁은 미국의 독무대였지만 태평양 전역보다 유럽 전역이 더 중요한 전역이었고, 그곳에서 소련의 역할이 컸기 때문이다. 소련은 유럽 전역에 집중하기 위해 일본과의 불가침조약을 계속하도록 다른 연합국들의 양해를 받고 있었다. 포츠담회담 뒤에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도록 예정되어 있었다.


미국이 원자폭탄 개발을 서둘러 일본에 얼른 떨어뜨린 목적이 동아시아에서 소련의 지분 확대를 제한하는 데 있었다는 해석이 많다. 정황으로 봐서 그럴싸한 해석이다. 원자폭탄의 실험 성공이 포츠담회담 개막 전날인 7월 16일이었고, 트루먼은 그 사실을 7월 25일에야 스탈린에게 알렸다고 한다. 8일간 매일 보며 회담을 진행시키는 동안 감추고 있었다는 것은 신무기의 존재를 소련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열쇠로 여겼다는 이야기다.


소련에게 알린 뒤 보름 내에 두 개의 폭탄을 터뜨렸다. 소련이 예정대로 일본과의 전쟁을 연 뒤 전쟁의 마무리 과정에서 자기 지분을 더 키울 여지를 주지 않으려는 의도였다. 원자폭탄 때문에 일본이 예상보다 일찍 항복했고, 그로 인해 항복 시점에서 연합국의 점령 방침도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채로 있었다. 급작스럽게 점령 방침을 결정하는 과정에서도 원자폭탄의 존재는 소련의 입장을 적지 않게 위축시켰을 것이다.


일본의 항복이 몇 주일이라도 더 늦었다면, 그리고 원자폭탄의 존재가 소련의 입장을 위축시키지 않았다면 미국이 일본 본토를 통째로 점령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역사에서 가정(if)을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어쨋든. 그리고 이건 너무나 뻔히 눈에 보이는 일이다.


일본 점령의 독점은 미국에게 갑자기 떨어진 대박이었다. 형식상으로는 아시아-태평양 연합군 총사령부가 점령의 주체였지만, 소련이 빠진 연합군 총사령부는 미국의 전유물이나 마찬가지였다. 일본을 소련이 양보할 경우 대가로 한국을 통째로 달라고 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38선 제안에는 소련을 떠보려는 뜻이 있었던 것인데, 소련이 이것을 받아들이면서 일본 방면으로는 쿠릴 열도와 사할린만을 요구하는 것을 보고 미국 관계자들은 회심의 미소를 띠었다고 한다.


1943년 11월의 카이로회담에서 미국, 영국, 중국은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며 전후 처리 3개항을 발표했다. 

(1) 1914년 1차 대전 발발 이후 일본이 탈취한 태평양 도시들을 뱉어내고, 

(2) 만주와 대만을 비롯해 중국으로부터 탈취한 영토를 돌려주고, 

(3) ‘적절한 과정을 거쳐(in due course)’ 한국을 자유로운 독립국으로 만들 것.


카이로회담의 3개항은 일본제국을 일본열도로 돌려보낸다는 것인데, 한국은 돌려받을 임자가 없는 나라였던 것이다. 중국이 힘이 넘치는 사정이라면 보호국으로라도 돌려받겠다고 나설 입장이었지만 자기 앞도 가리기 힘든 형편이었다. 미국과 영국은 카이로회담 당시 한국을 어찌해야겠다는 아무 생각 없이 일본 영토를 깎아내기 위해 한국의 독립 방침을 세웠을 뿐이다. 미국 국무부가 장래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검토하기 시작한 것은 카이로회담 이후의 일이었다.


아무리 검토해도 한국의 전략적 가치가 그리 크게 인식되지는 않은 것 같다. 포츠담회담 직전까지도 미국 전쟁부 작전국(OPD)에서는 한반도의 미-영-중-소 4국 분할점령안을 검토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포츠담에서 미국과 소련의 대립 양상이 뚜렷해지고 원자폭탄의 등장으로 종전이 갑자기 닥쳐오면서 영국과 중국은 빠지고 미-소 두 나라가 서로 눈치를 살피는 상황이 되었다.


냉전의 공식적 기점은 1947년 3월의 트루먼 독트린이지만, 두 초강대국의 경쟁은 1945년 5월 독일 항복 이후 분명해지고 있었다. 러스크와 본스틸이 8월 10일 밤늦게까지 지도에 매달려 있었던 것은 일본이 포츠담선언 수락 의사를 밝혀 왔고, 이틀 전 일본에 선전포고한 소련이 이미 한반도에 진주하기 시작한 상황에 쫓긴 것이었다.


8월 10일 일본이 스위스와 스웨덴 공사관을 통해 연합국에 보낸 문서 내용은 8월 16일자 <매일신보>에 이렇게 게재되었다.


" 제국정부에서는 항상 세계평화의 촉진을 희구하여 금차 전쟁의 계속에 의하여 재래될 참화에서 인류를 면하게 하기 위하여 속히 전투의 종결을 기념한다. 천황폐하의 대어심에 쫓아 이미 수주간전 당시 중립관계에 있던 소련방정부에 대하여 적국과의 평화회복을 위하여 알선을 의뢰하였는데 불행히 우제국정부의 평화 초래에 대한 노력은 결실을 보지 못하고 이에 제국정부는 천황폐하의 일반적 평화극복에 대한 어희념에 기하여 전쟁의 참화를 될 수 있는 한 속히 종지시키고자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제국정부는 1945년 7월 26일 포츠담에서 미, 영, 중 삼국정부 수뇌자에 의하여 발표된 후 소련정부의 참가를 본 공동선언에 든 조건을 우 선언은 천황의 국가통치의 대권을 변경하는 요구를 포함하여 있지 않은 료해하에 승낙함. 제국정부가 우 료해 에 있어서 그릇됨이 없음을 믿고 본건에 관한 명확한 의향이 속히 표시되기를 절망함.”



천황의 통치권 보전이 일본의 유일한 요구조건이었다. 이에 대해 연합국들은 이튿날 보낸 답신에서 “최종적으로 일본국정부의 형태는 포츠담선언에 遵(준)하여 일본국 국민의 자유로 표명하는 의사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고 하여 천황제 폐지 여부를 확정하지 않은 답신을 보냈고, 이를 14일에 일본이 받아들여 종전 합의에 이르렀다.

 


소련이 지분을 키우기 전에 서둘러 항복을 받아들이려는 미국의 의지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미-소 간의 경쟁 양상을 꿰뚫어보는 전략가가 일본에 있었다면 조속한 항복의 대가로 관대한 정책을 미국에게 흥정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한반도에 38선이 그어진 것은 이처럼 일본 점령 방침을 놓고 판세가 출렁일 때였다. 한반도의 점령 가치는 일본에 비해 100분의 1도 안 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미국의 중견 실무자들이 한밤중에 만들어낸 분할점령안이 아무런 토론 없이 두 나라 사이에 결정되었다.


   이상..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역사 항일독립운동..!! 02편 시리즈
다음글
북한은 이라크처럼 만만한 나라가 아니었다.